존 헤론은 양화진에 묻힌 최초의 선교사이며 그로 인해 양화진 외인묘지가 생겼습니다. 이 분의 한국 명은 혜론(惠論)으로 1856년 영국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회중교회의 경건한 목사인 그의 아버지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테네시 주에서 제일 큰 녹스빌에서 목회 생활을 하면서 자녀들을 양육하였습니다. 헤론은 메리빌 대학을 졸업하고 이어 테네시 종합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개교 이래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학교는 헤론에게 교수가 되어 줄 것을 요청받았지만 거절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그 이전부터 조선의 선교사가 될 것을 꿈꿨기 때문입니다. 그는 정식 의사 자격을 취득하고 깁슨양과 결혼한 1884년 봄에 최초의 장로교파 조선 선교사로 정식 임명을 받았습니다. 1885년 조선에 들어와 열심히 병자를 치료하는 등 사역을 하다가 5년만인 1890년 7월 26일 그의 나이 33세에 전염성 이질에 걸려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분을 먼저 정동 미국 공사관 경내에 임시 묏자리를 정해 묻고 후에 양화진을 공동묘지로 허락해 줄 것을 청원 드디어 1893년 10월 고종의 정식 허락 하에 헤론 선교사는 양화진으로 이장되었습니다. “또 내가 들으니 하늘에서 음성이 나서 가로되 기록하라 지금 이후로 주 안에서 죽는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시매 성령이 이르시되 그러하다 그들이 수고를 그치고 쉬리니 이는 그들의 행한 일이 따름이라 하시더라”(계14:13).
1885년 2월 25일 선교사이자 의사인 알렌을 통하여 조선 정부는 국립병원 광혜원을 열고 많은 환자를 치료하다가 알렌이 주미 조선공사의 서기관으로 임명되어 가자 그해 7월 의사 헤론을 2대 원장으로 임명하는 동시에 알렌의 뒤를 이어 고종의 시의로 임명되었습니다. 헤론의 부인 역시 명성황후 민 씨의 총애를 받아 조선 내에서 차근 차근 기반을 닦아 갔고, 국립병원 광혜원은 날로 번창해 갔습니다. 그 당시 백성들의 건강 상태는 매우 비참했습니다. 한 병원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 사람들의 절반은 천연두로 죽습니다. 매독은 아주 흔한 병이고….피부병과 무좀은 백성들 거의 전부가 걸려 있습니다. 학질은 만병의 근원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헤론은 광혜원이라 이름한 이 병원을 제중원(濟衆院)으로 바꾸고 정릉 외국인 거주지에서 구리개(지금 을지로1가와 2가 사이)로 이사를 갔습니다. 왜냐하면 왕실의 총애만 받으며 특권층에만 의료 혜택을 베풀 것이 아니라 가난한 자, 병든 자들에게도 베풀고자 하는 생각이 간절했기 때문입니다. 헤론은 33세로 죽기 며칠 전까지도 아픈 몸을 이끌고 6백여리나 되는 먼 시골에 가서 병자를 치료해 주었던 분으로 주님을 본받아 조선인들의 질병을 치료하려고 애를 쓴 의사였습니다. “예수께서 베드로의 집으로 들어가사 그의 장모가 열병으로 앓아 누운 것을 보시고 그의 손을 만지시니 열병이 떠나가고 여인은 일어나서 예수께 수종들더라” (마8:14-15).
초대 선교사들이 조선에서 제일 먼저 애를 쓴 것은 콜레라, 장티푸스, 페스트와 같은 전염병 방지였습니다. 왜냐하면 전염병이 한 번 휩쓸고 지나간 뒤에는 떼죽음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병들에 대하여 조선인들의 무지는 놀라울만 하였습니다. 콜레라가 엄습해 오자 평양감사는 “이 괴질은 만주 쪽에서 오는 것이니 그 길목에다 장승을 세워라. 띄엄띄엄 한길을 가로질러 개골창을 파서 오다가 빠져 죽게 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것을 보고 당시 평양에 있던 선교사 마펫은 “그것은 어리석은 짓입니다. 날것을 먹지 말고 설익은 참외도 먹지 말고 물은 반드시 끓여서 먹어야 합니다. 옷을 깨끗이 빨아 입고, 집 안팎을 청결하게 해야 합니다” 라고 했지만 민중은 코웃음만 칠 뿐이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병원을 시작한 헤론의 고충이 얼마나 컸을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헤론은 밤낮 쉬지 않고 병자들을 돌봤고, 그의 희생적인 의료봉사는 정말로 놀라웠는데, 같은 선교사 기퍼드의 평입니다. “….그는 의사로서 그의 강한 희생정신과 사랑의 정신과 인술로 모든 어려운 의료사업을 담당해냈다. 절대로 불평하지 않았다. 그는 자기 몸을 아끼는 법이 없었다. 그는 과로와 정신적 긴장 때문에 기진맥진하여 질병의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누구든지 자기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와 복음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막 8:35).
헤론은 의사로서 병자를 돌보는 일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교사로서 성서번역에도 눈부신 활동을 했습니다. 초대 선교사에게는 어떻게 하면 빨리 성경을 번역하느냐가 관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미 서상륜역과 이수정역이 나오긴 했지만 그것들은 중국어와 일본어를 번역한 것이므로 성경을 다시 번역하여야만 했습니다. 1887년 성서번역 상임위원회를 처음으로 조직했고 헤론은 그 네명의 번역위원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병원 업무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는 밤늦게까지 성서번역에 골몰했습니다. 또한, 헤론은 대한기독교서회의 전신인 한국성교서회를 창설하였습니다. 교회 설립도 중요하지만 성서와 기독교 문서를 출판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에 기독교 문서 출판을 제일 먼저 제창한 선교사가 되었습니다. 백낙준 박사는 이에 대하여 “기독교서회는 헤론 의사의 창안에 따라 또한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과 영국 기독교서회에서 재정 원조를 받아옴으로써, 또 올링거의 조직력에 따라 창설되었다.”라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한국성교서회가 창설된 것은 1890년 6월 25일 헤론이 세상을 떠나기 바로 한 달 전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조선에 입국한지 불과 5년동안 병원, 성서번역, 기독교 문서 등으로 복음 전파의 기초 공사를 이루어 놓고 그는 이질에 걸려 주님의 품 안에 안겼습니다.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생명의 관을 네게 주리라.” (계 2:10).
선교사 헤론은 많은 사람에게 감명을 주었는데 그 중 제일 가까운 친구는 캐나다 출신 독립 선교사 게일(1863-1937)이었습니다. 게일 선교사는 조선의 선교사이자 한국어학자로서, “한국 근대사”를 비롯하여 40여권의 한국어 저서, 10여권의 영문 저서등 많은 저술을 남겼습니다. 최초의 한영사전을 만들고 ‘구운몽’을 서양에 최초로 알렸으며 천로역정을 최초로 순 한글로 번역하였습니다. 특히, 그는 마펫 선교사와 함께 ‘신(God)’을 ‘천주’가 아니라 ‘하나님’으로 번역해 조선인이 쓰던 ‘하나님’의 호칭이 정착하도록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그가 펼쳐 나간 복음의 조선화로 수많은 조선인들이 복음을 보다 쉽게 접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헤론이 죽은 지 2년 뒤인 1892년 30세의 나이로 총각이었던 게일은 헤론의 두 아이를 가진 미망인 깁슨여사와 결혼하였습니다. 게일은 전 남편 아이들을 자기 호적에 넣되 ‘헤론’이라는 성은 그대로 남겨두도록 하였습니다. 그것은 아이들의 미국인 성을 그대로 둠으로써 아이들의 장래가 더 좋아지리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곤당골에다 신방을 차리고는 거기서 한국 고아들을 돌보며, 선교사 무어와 손잡고 1893년 곤당골에 교회를 세웠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서울 인사동에 있는 ‘승동교회’의 전신이며, 연동교회의 초대 담임목사로서 천민들과 함께 목회한 기독교의 조선화를 꿈꾸었던 분입니다. “너희 내게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하라 그리하면 평강의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계시리라” (빌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