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말씀나눔

2017. 12. 4 -8

이상재, 윤치호, 유성준, 김정식등을 비롯하여 여러 지식인들을 YMCA로 끌어들인 데는 형인 플레쳐 브로크만의 공헌이 컸습니다. 플레쳐 브로크만은 가끔 초빙을 받아 우리나라에 와서 YMCA 지도자 훈련에 공헌 했습니다. 그리고 1920년 당시 YMCA의 총무 신흥우가 농촌 운동을 시작할 때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신흥우는 동생 브로크만과 함께 국제 YMCA를 방문 하고 그 지도자들과 협의회를 가졌는데 거기에는국제 YMCA의 총무를 비롯하여 백화점 경영자 J.C. 페니와 형 브로크만이 참석하였습니다. 이것이 유명한 ‘레이크플래시드 5인회담’이라는 것인데, 이 회담에서 국제 YMCA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열 명의 농촌운동 전문가를 파송하는 동시에 기술 및 재정 원조를 해 주는데 합의를 보았습니다. 그러나 형 브로크만의 제일 큰 공헌이라 할 점은 그의 동생 브로크만을 우리나라 YMCA 간사로 선정 파송한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동생 프랭크 브로크만(1878-1929)이 중국에서 자기와 함께 일하고 싶다는 것을 거절하고 한국으로 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1902년 대학을 졸업하고 네브라스카 오마하의 학생부 간사로 취임하여 유명한 F.I 윌리스의 총무의 지도를 받았습니다. 그러다가 1905년 한국 YMCA의 공동 총무로 파송되어 내한한 뒤로, 1929년에 죽어 양화진 외인묘지에 묻힐 때까지 24년간 한국 YMCA를 위하여 헌신했습니다. 그가 끼친 공헌은 실로 빛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내가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행15:10).
더 읽기

라벨을 제대로 붙이자

(행11:24-26)

1892년 동유럽 작은 마을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고, 1895년 미국의 작은 마을에서도 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 각자의 동네 성당에서 복사(服事)를 담당했는데 성찬식에 포도주를 따르던 중 잔을 엎지른 동유럽 아이에게 돌아온 것은 호된 비난과 냉소였다 “제단 앞에 두 번 다시 나타나지 말아라”. 반면 미국 아이에게 돌아온 것은 따뜻한 위로였습니다. 특히 담당 신부는 “나도 어릴 때 실수가 많았단다. 너도 커서 신부가 되겠구나”라고 격려했습니다. 후에 동유럽 그 아이는 무신론자로 유고슬라비아를 37년간 통치한 공산주의자 티토가 되었고. 미국 아이는 카톨릭대 교수이자 존경받는 폴턴 쉰 대주교가 되었다고 합니다. “말투만 바꿨을 뿐이데” 라는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리처드 밀러는 시카고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몇 개의 학급에서 담임선생에게 부탁하여 ‘모두 깔끔하구나’라는 라벨을 학생들에게 붙이게 했다. 그러자 82퍼센트 이상의 아이들이 쓰레기를 보면 주워서 휴지통에 버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담임 선생이 그런 라벨을 붙이지 않은 학급에서는 교실에 쓰레기가 떨어져 있어도 무시하는 아이가 많았고 쓰레기를 줍는 아이는 약27퍼센트에 불과했다고 한다.”(51p). 그래서 책 저자는 친구가 ‘이런 사람이면 좋을 텐데’하는 희망이 있다면, 그런 사람이 되어 달라고 설득하기 보다 오히려 라벨을 잘 붙여서 친구가 그런 사람이 되도록 유도하면 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이미 죄인들이라고 대내외에 선포한 사람들입니다. 따라서 교만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하나님께 받아들여진 사람들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을 섬길 줄을 알아야 합니다. 이 두가지 라벨을 항상 우리 삶에 붙이면 겸손하게 되어 서로 서로를 섬기는 사랑의 공동체가 될 것입니다.

겸손에 대한 교훈과 그리스도

성경말씀: 누가복음 14:7-11

오늘 본문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저명한 바리새인의 집에 초청을 받아 들어가셔서 초청을 받은 다른 자들이 높은 자리를 택하여 앉으려고 열심을 내는 것을 보고 계셨습니다. 이런 모습은 평상시 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하던 사람들의 당연한 귀결입니다. 그러나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심과 같이 겸손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통로임을 알아야 합니다. 한편, 진정으로 겸손한 자는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모셔들인 자만이 가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본체이셨지만 자신을 비어 종의 형체를 입으셨고 더 나아가 우리 죄를 담당하시기 위해 죽기까지 복종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이런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당신의 아들을 지극히 높여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자들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 앞에 무릎을 꿇고 주님으로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피로 속량을 받은 자들은 주님께서 만유의 주인임을 알기에 그들의 마음에는 기쁨과 즐거움으로 꽉 들어차게 되어 있습니다. 모든 염려를 전부 주님께 맡겨버리시기를 바랍니다. 주님이 이루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를 높이는 분은 우리 자신이 아니라 주님이시며 우리의 소망은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이기에 겸손은 그리스도인들의 존재양식이 되는 것입니다.

1. 겸손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통로임을 알아야 합니다.

2. 겸손은 그리스도인들의 존재 양식임을 알아야 합니다.

매일성경읽기

2017. 11. 27 – 12.1
베어드의 교육 사업이 큰 열매를 맺은데는 두 가지 큰 이유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선교지 자립 정책인 네비우스 선교 방법을 우리 나라 실정에 맞도록 적당히 수정하여 적용시킨 점입니다. 즉, 네비우스의 세 가지 자주 정신 즉, 자력 유지, 자주 치리, 자진 전도의 정신을 평안도 사람들이 본래부터 갖고 있는 개화, 독립, 하나님 숭배 정신에 접목시켜 발전 시켰던 것입니다. 그 결과 평양 숭실학교는 학생들이 학자금을 자급하도록 하여 자립 정신을 확립시켰습니다. 사실 베어드의 숭실학교 경영 이상은 미국 미주리 주의 장로교계 학교인 파크 대학과 포이넷트 아카데미였습니다. 이 학교들은 학생 전원이 학생지도관에서 일주일 동안 일정한 시간을 작업하도록 한 뒤 그 수입으로 학생들이 자력으로 학자금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배운 기술을 졸업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물론 그는 이 정책을 한국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였습니다만, 육체노동을 천시하고 글 읽는 것만 자랑으로 생각하던 조선 사람들의 뿌리 깊은 병폐를 개혁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교내에 소위 자조 사업부를 두었고 학생들에게 근로와 자조 정신을 불어넣어 주는 것을 제1의 교육목적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자기의 토지를 경작하는 자는 먹을 것이 많거니와 방탕한(비었다는 의미임) 것을 따르는 자는 지혜가 없느니라”(잠12:11).
더 읽기